군사합의 효력 정지 책임 넘긴 北 "한반도 전쟁은 시점 문제"

이태섭 북한군 총참모장이 22일 열린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회의에서 동해안 축선이 담긴 작전지도를 놓고 김정은 위원장에게 설명하는 모습.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북한은 한국의 9·19 군사합의 일부 조항 효력 정지로 한반도 정세가 극도로 악화했다면서 물리적 격돌과 전쟁은 가능성 여부가 아닌 시점상의 문제라고 위협했다.
북한의 이러한 위협은 정세 악화의 책임을 남측에 돌리는 한편 추가 도발의 명분을 쌓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3일 북한 조선중앙통신 보도에 따르면 군사논평원은 “지난 5년간 유지되어오던 군사분계선 완충지대는 완전히 소멸되고 예측할 수 없는 전쟁 발발의 극단한 정세가 팽배해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올해 10월까지 한국이 전방지역에서 수천회 확성기 방송 도발과 군함·정찰기의 영해·영공 침입을 감행했다면서 “적들이 북남군사분야합의를 난폭하게 위반한 사실들을 입증할 수 있는 각종 증거물들이 충분하다”고 말했다.
또 한국의 첫 군사정찰위성 발사에 언급하며 “우리의 위성발사가북남군사분야합의서에 대한 ‘위반’으로 된다면 이미 정해진 11월 30일에서 12월 2일로 미루면서도 미국상전에게 기대여 끝끝내 실행한 군사정찰위성발사는 어떠한가”라며 “그 어떤 철면피한도 이를 ‘합의준수’라고 우겨댈 수는 없을 것”이라고 했다.
논평원은 또 군사합의 효력 정지는 한국군이 직접 대북전단을 살포하는 등 대북심리전을 본격 강행하기 위해서라며 “적들이 시도하는 우리측 지역에 대한 무인기투입과 삐라살포는전쟁도발에해당되는 엄중한 군사적 적대행위”라고 규정했다.
그러면서 “이제 조선반도에서 물리적 격돌과 전쟁은 가능성 여부가 아닌 시점상의 문제”라며 “우리 군대는 이제부터 그 어떤 합의에도 구애되거나 속박되지 않고 정상적인 군사활동을 마음먹은 대로 전개할 수 있게 되었다”고 주장했다.
이어 “우리를 반대하는 괴뢰패당의 그 어떤 적대행위도 괴뢰군의 참담한 괴멸과 ‘대한민국’의 완전소멸로 이어질 것”이라며 “북남군사분야합의서를완전 파기한도발광들은 반드시 혹독한 대가를 치러야 한다”고 위협했다.
앞서 북한은 우리 정부가 북한의 군사정찰위성 3차 발사에 따른 대응조치로 지난달 22일 9·19 군사합의 중 ‘비행금지구역 설정’(제1조 3항)의 효력을 정지하자, 이튿날 9·19 군사합의 전면 파기를 선언했다
下一篇:홍준표 "엑스포 박빙 보고…尹 파리 출장가게 한 참모들 징계해야"
相关文章:
- Corning appoints company veteran as new Korea head
- City becomes attractive when social minorities are empowered: Seoul mayor
- Court orders Japan to compensate ‘comfort women’
- Dunamu CEO set for third term
- 이종석 헌재소장 임명안 국회 통과…수장 공백 21일 만에 해소
- 이원욱 “이재명, 최강욱 징계 반발하는 개딸과 이별해야”
- Seoul shares open higher on US gains amid rate woes
- [From the Scene] Incheon Airport goes global to Batam, Indonesia
- Merger of Korean OTT platforms Tving and Wavve imminent: sources
- Two CEOs to lead Mirae Asset Global Investments
相关推荐:
- As streaming services raise fees, some turn to illegal streaming sites
- Two CEOs to lead Mirae Asset Global Investments
- After 13 years, Naver's 'OnStage' music show bids farewell
- Will Blackpink renew contract as group?
- [Global Finance Awards] Going global essential in era of digital finance
- Pianist Kim Jun
- 이원욱 “이재명, 최강욱 징계 반발하는 개딸과 이별해야”
- [From the Scene] Jewel Changi offers glimpse of how to make airport fun
- 이종석 헌재소장 임명안 국회 통과…수장 공백 21일 만에 해소
- Seoul shares open higher on US gains amid rate woes
- 이종석 헌재소장 임명안 국회 통과…수장 공백 21일 만에 해소
- Former divas return as Golden Girls
- Govt. posthumously confers state medal on late Ven. Jaseung
- A decade of YouTube and Korea in the World of Dave
- Merger of Korean OTT platforms Tving and Wavve imminent: sources
- Minho of SHINee to hold first solo fan concert in January
- 49th Seoul Independent Film Festival to screen indie Korean animations
- [Today’s K
- [Global Finance Awards] Kyobo's new child insurance plan offers lifetime coverage
- CHA to expand assistance for buried cultural heritage excavation
- S. Korea goes all
- [KH Explains] Why do Woori, NongHyup hold on to North Korean operations?
- AmCham hosts AI forum for SMEs
- [Herald Interview] Korea
- Samsung SDI, Volvo Trucks vow to enhance battery partnership
- Seoul offers 10,000 sets of portable SOS emergency bell ‘Zikimi’
- 대통령실, 범정부 기술유출 합동대응단 출범
- Lawmaker calls for specifying China's responsibility in UN resolution on NK human rights
- Samsung CEO highlights AI safety research
- [Hello Hangeul] Americans seeking to visit Korea learn the language in LA